
수원화성문화제는 60년 이상 이어져온 수원을 대표하는 문화관광축제로,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2025년 9월 27일부터 10월 4일까지 8일간 개최됩니다.
1795년 정조대왕이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해 기획한 8일간의 행차 ‘을묘원행’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 축제는, 정조대왕의 효심과 애민정신을 토대로 전통과 현대, 예술과 시민이 하나 되는 축제의 장입니다.
수원화성문화제는 전통 퍼포먼스는 물론, 성곽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드론쇼, 초대형 시민 건축 퍼포먼스, 유쾌한 가마레이스와 과거시험 등 다양한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함께 어우러져, 누구나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몰입형 역사문화축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정조대왕 능행차와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 능행차는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1795년(을묘년)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장조)의 묘소인 현륭원(현재 화성 융릉)을 참배하기 위해 창덕궁에서 화성까지 직접 행차한 8일간의 대규모 왕실 여정입니다. 이 여정은 단순한 제례를 넘어, 효심과 백성에 대한 애민정신, 왕권 강화를 아우른 정조 정치철학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정조는 이 행차 동안 백성들과 직접 마주하고, ‘격쟁’ 제도를 통해 억울한 사연을 청취하며 민심 정치를 실현했습니다. 또한 행차 중에는 회갑연인 ‘진찬연’, 특별 과거시험 ‘별시’, 장수를 기리는 ‘양로연’ 등 백성을 위한 행사가 풍성하게 펼쳐졌고, 그 준비와 기록은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그로부터 180년 후인 1975년, 수원의 한 고등학교에서 시작된 능행차 재현은 이제 서울시·수원시·화성시가 함께하는 공동재현 행사로 확대되었고, 총 59km의 경로를 따라 과거의 역사를 오늘날의 시민들이 함께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사전 신청을 통해 직접 전통의상을 입고 능행차에 참여할 수 있으며, 단순한 관람을 넘어 참여와 체험이 어우러진 축제의 주인공이 됩니다.
👉 특히 2025년 정조대왕 능행차는 9월 28일(일)에 진행될 예정으로, 서울부터 수원·화성까지 이어지는 공동재현 구간에서 대규모 시민 참여 행렬이 펼쳐집니다.
수원화성문화제 주요 프로그램 소개
수원화성문화제는 단순한 재현을 넘어, 역사·예술·기술이 융합된 몰입형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축제 기간 수원화성 일대에서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시민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문화예술 축제로 펼쳐집니다.
먼저, 대표 야간 퍼포먼스 ‘수원판타지 야조’는 정조대왕이 서장대에서 장용영을 지휘하며 펼쳤던 야간 군사훈련을 바탕으로 한 공연입니다. 기마 퍼포먼스, 군무, 무예 시연, 불꽃놀이, 워터스크린과 맵핑 영상이 어우러지며 생생한 전장을 연출합니다. 약 200명의 시민 배우가 참여해 실감 나는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은 입체적 객석에서 생생한 전장을 체험하듯 몰입하게 됩니다.
📍 2025.10.3(금)~10.4(토) 19:30 / 연무대 / 무료, 사전예약 필요
다음은 수상 퍼포먼스 ‘선유몽’입니다. 정조대왕이 어머니와 함께 시를 읊고 음악을 즐기던 방화수류정 아래 연못 ‘용연’을 배경으로, 조선의 선유놀이를 모티브로 한 이 공연은 물, 빛, 소리,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진 환상적인 야경 퍼포먼스입니다.
📍 2025.9.29(월)~10.4(토) 20:00 / 방화수류정 / 자유 관람
세 번째는 궁중 회갑연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몰입형 궁중 공연 ‘진찬’입니다. 이 공연은 1795년 정조대왕이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해 열었던 궁중연회 ‘진찬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전통 궁중정재와 무용, 디지털 미디어아트가 결합된 이 공연은 혜경궁 홍씨의 기억 속 잔치 장면을 관객이 직접 체험하는 듯한 방식으로 펼쳐집니다.
📍 2025.9.29(월)~10.4(토) 19:30 / 화성행궁 봉수당 / 자유 관람
이 외에도 성곽을 무대로 펼쳐지는 성곽아트, 고궁을 배경으로 한 미디어아트 공연, 하늘을 수놓는 드론쇼까지 더해지며, 수원화성문화제는 역사적 장소와 첨단 콘텐츠가 공존하는 예술 무대로 거듭납니다.
시민이 함께 만드는 수원화성문화제
수원화성문화제의 가장 큰 특징은 시민 참여입니다. 관람객이 아닌 ‘참여자’로서 직접 축제를 만들어가는 프로그램들이 해마다 진화하고 있습니다.
- 시민의 위대한 건축 '팔달': 프랑스 아티스트 올리비에 그로스떼뜨와 글로벌 시민이 함께 종이만으로 초대형 구조물을 짓는 집단 건축 퍼포먼스. 팔달문의 1/2 크기로 만들어 행궁광장에 세우고, 전시하고, 해체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는 집단건축 프로젝트
📍 행궁광장 / 무료 참여 가능 시민건축가 모집: 7.1.~8.29./현장 세움: 9.30.~10.1. / 전시: 10.2.~10.3. / 해체: 10.4.
- 가마레이스: 정조대왕이 어머니를 위해 만든 가마 ‘자궁가교’와 ‘유옥교’를 모티브로, 시민이 직접 전통 가마를 들고 질주하는 이색 레이스. 유쾌한 웃음과 효심이 함께하는 인기 프로그램.
📍 행궁광장 일대 / 현장 신청 가능 - 시민 과거시험 '별시' 체험: 정조대왕이 직접 실시했던 별시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시민 참여형 시험. 창의력과 센스를 발휘하는 퀴즈형 체험으로 남녀노소 모두 참여 가능.
📍 접수: 2025.8.25부터 / 장소 및 일정 추후 공지
이 외에도 ‘전통문화 체험마당’, ‘한복 체험’, ‘수원시민 예술제’, ‘정조의 불꽃놀이’, ‘먹거리 축제’ 등 체험과 즐거움이 가득한 프로그램이 곳곳에서 열립니다.
결론: 모두가 함께 만드는 살아 있는 역사축제
2025 수원화성문화제는 단순히 조선의 역사를 기념하는 행사에 머물지 않습니다. 정조대왕의 철학과 정신을 바탕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예술을 체험하며 오늘날의 의미 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살아 있는 역사문화축제입니다.
수원화성의 성곽을 무대로 펼쳐지는 퍼포먼스, 함께 만드는 건축, 즐거운 가마레이스와 과거시험까지! 올가을, 당신도 이 특별한 여정의 한 장면이 되어보세요. 👉 지금 수원화성문화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일정과 참가 프로그램을 확인해보세요!